![]() |
![]() ![]() ![]() ![]() ![]() |
목차 1. 국민 인식 실태 2. 부정적 인식의 문제점 * 정책 집행의 효과성 및 성과 3. 부정적 인식 형성 원인 1) 공무원과 국민의 상호불신 2)공무원 직업에 대한 국민과 공무원의 입장 차이 3)언론 4. 국민 인식 개선 방안 본문 2. 공무원에 대한 국민 부정적 인식의 문제? * 공무원에 대한 국민의 낮은 신뢰도 → 행정 전반에 대한 만족도를 낮춤 → 정책 집행의 효과성 및 성과를 낮춤 → 불신과 불만족을 야기 ⇒악순환의 반복 정책 집행의 효과성 및 성과 * PSM(Public Service Motivation) PSM이론이 말하는 동기부여 이론에 따르면? ⇒ 공무원 불신 및 부정적 인식은 동기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 <한국 행정 연구원 연구 결과> 직업선택 동기→조직 생활 전반에 걸쳐 영향 * 고객만족도 평가에서 좋은 결과 → 공공기관의 고객책임성 증대 * 일반 국민으로부터의 높은 신뢰 → 사회적 책임성 증대 3. 부정적 인식 형성 원인 1) 공무원과 국민의 상호불신 국민의 입장: 공무원의 근무 태만 지적. '저렇게 한가 한데?' 사례) 청원군 공무원 근무 태만, 불친절 지적 잇따라, 군 홈페이지 게시판 정초부터 면사무소 직원 성토 글 공무원 입장: 과장 및 허위진술, 자신의 이해대로 업무가 처리되지 않을 경우 큰소리로 협박을 하거나 인맥, 경제력, 상급기관을 통해 압력을 행사하는 민원인 불신 출처: 민원인에 대한 공무원의 신뢰측정 문항과 요인분석 결과 참고문헌 한국행정연구원(2012), 행정에 관한 국민의 인식조사 한국행정연구원(2012), 행정에 관한 공무원의 인식조사 유윤정(2001), 민원인에 대한 공무원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구청 세무공무원을 대상으로 중앙일보 신문 기사 '청원군 공무원 근무태만, 불친절 지적 잇따라, 군 홈페이지 게시판 정초부터 면사무소 직원성토 글'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0342608&ctg=1213 키워드 국민, 개선방안, 개선, 방안, 공무원, 실태 |
2016년 5월 30일 월요일
행정학 공무원에 대한 국민 의식 실태와 개선방안
행정학 공무원에 대한 국민 의식 실태와 개선방안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