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4월 29일 토요일

군대언어 조사 분석

군대언어 조사 분석
군대언어 조사 분석.hwp


목차

1.머리말
2.군대언어
2.1. 군 내 언어규정
2.2. 음운적 특성
2.3. 문법적 특성
2.4. 어휘적 특성
3.분석
3.1. 사회방언으로서의 군대언어
3.2. 의의 및 한계
4.맺음말


본문
1.머리말
지금까지 군대 사회에서의 언어 사용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한 논문의 수는 그리 많지가 않다. 이는 본질적으로 군대 사회가 가지고 있는 그 폐쇄적인 성격으로 말미암아, 연구에 필요한 자료의 수집이 민간 사회에 비해 상대적으로 훨씬 더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렇게 얻어진 자료들도 부대의 종류, 생활 지역 등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기도 하며 일정한 언어학적인 법칙에 따른 변용이 아닌 규칙을 찾아내기 힘든 변화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일례로 육군, 해군, 공군 내에서 쓰는 용어가 각각 차이를 보이고(미싱, 와싱, 미사리 등), 같은 단어라도 복무 소대에 따라 지칭하는 의미가 다른 경우가 비일비재하게 일어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군대는 대부분의 20대 남성들이 폐쇄적인 공간에서 일정한 복무시기를 보내는 동안 일반(민간)인들이 알아듣기 힘든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이라는 점에서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사회방언의 자격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생각했으며 충분히 흥미로운 조사 주제라고 생각해 택하게 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음운, 문법, 어휘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군대에서 사용하는 언어는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각각 조사해 볼 것이며, 단순한 단어 뜻 해석의 나열에서 그쳤던 기존의 조사와는 달리 변형된 단어의 종류를 체계적으로 나누고 그 각각의 어원에 대해 가능한대로 알아 볼 것이다. 하지만 앞서 말한 대로 군대 용어는 부대의 종류, 생활 지역 등에 따라 일정하지 못한 차이를 보인다. 또한 사용하는 언어도 매우 광범위해서 모두 다 조사 자료로는 활용하지 못하고 그 형태가 비교적 명확히 드러난다고 생각되는 것 일부만을 조사 대상으로 삼았다. 따라서 이 두 가지를 이번 연구의 한계점으로 인정하고, 부대 종류와 지역을 세분화하여 연구하지 않고, 쓰이는 용어들을 일반적인 관점으로 통합하였음을 미리 밝힌다.



참고문헌
참고싸이트
국방홍보원
http://www.dema.mil.kr/
팔방미인'방위산업청 대표블로그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apapr&logNo=110099777675
동고동락' 국방부 대표블로그
http://mnd9090.tistory.com/489


참고문헌
이상규, 『국어방언학』, 학연사, 2003, p.283.
박용한, 「군대 영내거주자 집단의 '-말입니다' 사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0.
박재권, 「일본어투 군대용어 조사」, 육군사관학교, 1999


참고인
1. 서울태생 / 57세 / 육군부대3사단 / 1977~1981 / 오대기, 깔깔이, 땡보, 아쎄이 모름
2. 전라도태생 / 45세 / 전투경찰 / 1988~1990 / 귀도리, 아저씨, 물개 모름
3. 서울태생 / 36세 / 육군부대12사단 / 1998~2000 / 껀수치다, 물개, 오대기 모름
4. 충청도태생 / 36세 / 육군부대37사단 / 1999~2001 / 모르는 것 없음
5. 전라도태생 / 31세 / 육군야전부대 / 2001~2003 / 모르는 것 없음
6. 경상도태생 / 31세 / 카츄샤 / 2003~2005 / 나라시, 아쎄이, 오대기 모름
7. 서울태생 / 29세 / 해군부대 / 2005~2007 / 미싱, 아들, 아버지, 뚜껑, 오대기, 황금마 차 모름
8. 경상도태생 / 25세 / 해군기뢰전대 / 2008~2009 / 시다, 가라, 뚜껑, 진돗개, 등화관 제, 군대스리가, 땡보, 오대기 모름
9. 경상도태생 / 25세 / 육군청룡부대 / 2008~2009 / 시다, 가라, 뚜껑 모름
10. 서울태생 / 23세 / 공군19전투비행단 / 2011~복무중 / 나라시, 아쎄이, 껀수치다, 귀돌이, 갈매기, 오대기 모름


키워드
언어, 군대, 특성, 조사, 사회, 연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