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4월 29일 토요일

SNS 발달과 소셜 TV의 전망

SNS 발달과 소셜 TV의 전망
SNS 발달과 소셜 TV의 전망.hwp


목차
Ⅰ 서론

1. SNS의 등장 그리고 SNS의 TV와의 결합
2. TV를 둘러싼 과거의 상호작용

Ⅱ 본론

1. SNS와 TV의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난 새로운 특징 및 효과
2. SNS 발달이 방송매체에 가하는 위협
3. SNS 영향으로 나타난 현재의 다양한 모습들
4. 시청 행태의 변화와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
5. 새로운 플랫폼의 대표, 소셜 TV의 전망

Ⅲ 결론

1. 정리


본문
서론

1. SNS의 등장 그리고 SNS의 TV와의 결합

TV는 등장 이래로 현재까지 우리사회의 모습을 단적으로 반영함과 동시에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사고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TV시청은 단순히 프로그램을 보고 그 내용을 받아들이는 차원을 넘어서서, 사회구성원들 사이에 여러 형태의 상호작용을 창출해 낸다. 또한 가족 및 지인들과 함께 TV프로그램을 시청하고, 그 내용을 소재로 다양한 의견과 생각을 공유할 수 있다.
TV를 통한 상호작용은 개인과 주변 지인들의 차원을 넘어서서 매스커뮤니케이션에서도 보이는 특징이다. 신문이나 방송에서 TV프로그램에 대한 소개를 하기도 하고, TV의 내용이 전 국가적 차원의 가십거리로 주목 받기도 한다. 이렇듯 TV는 공통의 대화소재를 제공해 줌으로써 사회구성원을 결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TV의 기능이 SNS의 확산과 함께 현대사회에서 더욱 강화되고 있다. SNS란 Social Network Service의 약자로, 온라인상에서 불특정 다수의 타인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서비스를 뜻한다. 최근 몇 년간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기기의 발달이 SNS의 확산을 촉진시켜왔다. SNS의 확산은 TV프로그램의 시청에 영향을 끼쳤다. 과거에 가족과 지인들끼리 TV프로그램을 두고 나누던 대화들이, 현재는 SNS상에서 시공간의 제약 없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과거의 메스커뮤니케이션이 일정 기간을 두고 가능했던 것이라면, 현재는 SNS를 통해 TV시청과 동시에 즉각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게 되었다.

SNS 확산에 따른 TV프로그램 시청에 대한 위와 같은 영향은 TV프로그램에 다양한 변화된 특징들 가져왔다. 우선, TV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들의 의견이 이전보다 사회적으로 원활하게 소통되도록 변화했으며, 그 파급력 또한 커졌다. 또한 프로그램 제작자와 시청자들 사이의 상호작용 정도도 높아졌다. 이 때문에 TV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의 의견이 이전보다 더 잘 받아들여 질 수 있는 구조로 변화하게 되었다.



키워드
TV프로그램, 상호작용, 프로그램, 시청, 등장, 사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