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4월 28일 금요일

교육의 사회화 기능 고찰-초등 국어와 사회 교과서 중심으로

교육의 사회화 기능 고찰-초등 국어와 사회 교과서 중심으로
교육의 사회화 기능 고찰-초등 국어와 사회 교과서 중심으로.hwp


목차
1. 사회화

2. 보편적사회화와 특수사회화

3. 역할기대

4.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나타나는 보편적 사회화

5.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에서 나타나는 역할기대

6. 결론

※ 참고문헌


본문
1. 사회화
구조-기능론에서는 학교교육의 사회적 기능을 '사회화'와로 본다. 여기서 사회화란 새로운 세대에게 기존사회의 생활양식과 가치 및 규범을 전수시키는 것이자, 사회에 적합한 인간을 만드는 것이다. 사회화에는 보편적 사회화와 특수사회화로 나누어진다.

2. 보편적사회화와 특수사회화
뒤르켐은 전체사회가 요구하는 사회화와 특수 환경이 요구하는 사회화를 '보편적사회화'와 '특수사회화'로 나눴다. 한 사회의 공통적 감성과 신념을 새로운 세대에 내면화시키는 것이 보편적사회화이고, 개인이 속하게 되는 특수한 직업집단이 요구하는 지적, 도덕적 특성을 함양하는 것이 특수사회화이다.


참고문헌
2012, 『사회 3-2』, 교육과학기술부.
2012, 『사회 4-2』, 교육과학기술부.
2012, 『읽기 4-2』, 교육과학기술부.
2012, 『읽기 5-2』, 교육과학기술부.
2011, 『듣기 말하기 쓰기 6-2』, 교육과학기술부.
김병성, 2002, 『교육사회학 이론 신강』, 학지사.
김천기, 2003, 『교육의 사회학적 이해』, 학지사.
이건만, 2001, 『교육사회학의 이론과 실제』, 문음사.


키워드
사회화, 사회, 보편적, 특수, 특수사회화, 역할기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