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4월 28일 금요일

국어 접사의 기능과 형태 범주

국어 접사의 기능과 형태 범주
국어 접사의 기능과 형태 범주.hwp


목차
(1) 기존의 접사 체계 - 굴절 접사 / 파생접사

(2) 개재접사

(3) 기존 논의
1) 통사부에서 결합(시정곤) : 장점, 단점
2) 어휘부에서 결합(김창섭) : 장점, 단점

(4) 본 논문에서의 논의 : 어휘부에서 결합하는 통사적 접사



본문
* 개재접사 : 두 단어 형성 요소 사이에 개재하는 접사
-> 파생접사 및 굴절접사에 포함 X

* 개재 접사의 종류와 구성 방식
1) 복합 명사의 경우
관형사화 접사 : '-은,-는,-을'
명사화 접사 : '-이,-음,-기,-개' '-의,-에'

구성방식 동사어근 + 접사 + 명사어근
동사어근 + 접사 + 명사화접사
명사어근 + 접사 + 명사어근

2) 복합 동사의 경우
부사화 접사 '-어,-고' '-로,-에'

구성방식 동사어근 + 접사 + 동사어근
동사어근 + 접사 + 접사
동사어근 + 접사 + 동사어근


키워드
어근, 동사어근, 명사, 개재, 구성, 명사어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