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Ⅰ.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선행연구자료 검토 3. 연구방향 및 범위 (1) 연구방향 (2) 연구범위와 방법 Ⅱ. 본론 1. K-POP의 발전과정 (1) K-POP의 정의와 유래 (2) K-POP의 해외진출 사례 2. K-POP의 시장평가 (1) K-POP의 해외 시장현황 (2) 전 세계 음악 시장 규모 3. K-POP의 성공요인 (1) 시각성 (2) 육성시스템 (3) 현지화 전략 4. K-POP의 한계점 (1) 획일적인 음악 (2) 문화성 부족 (3) 비지니스 모델의 부재 5. 강남스타일의 성공요인 (1) 퍼포먼스와 뮤직비디오 (2) 각종 패러디와 저작권 (3) SNS의 힘 (4) 싸이의 능력 (5) 한국적 요소 '풍자' 6. K-POP이 배워야 할 점 (1) 개성 (2) 음악성과 퍼포먼스 7. K-POP의 발전방향 (1) 한국을 드러낼 수 있는 K-POP의 필요성 (2) 한국 음반시장의 변화 (3) 유투브나 SNS를 비롯한 IT 집약체 적극 활용 Ⅲ. 결론 1. 연구의 한계점 2. 맺음말 본문 Ⅰ.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다음의 글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한 가수에 관련한 기사이다. 강남스타일 로 지구촌 핫스타로 떠오른 가수 싸이가 또 다시 신기록을 세웠다.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는 24일 오후 6시30분께 세계 최대 영상사이트 유튜브에서 조회수 8억 369만여건을 올리며 세계에서 가장 많이 본 영상 1위에 올랐다. 이날 오전 8건을 넘긴 강남스타일 은 결국 이 부문 1위를 지키고 있던 10대들의 대통령 인 캐나다 팝스타 저스틴 비버의 베이비 의 뮤직비디오를 따돌렸다. 베이비 는 같은 시간 8억 365만건을 기록 했다. 2005년 타이완 출신의 스티브 첸이 만든 영상 공유사이트인 유튜브에는 음악을 비롯, 40억개 이상의 영상이 올라 있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이 본 영상이 바로 강남스타일 이다. 앞서 지난 7월15일 첫 선을 보인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는 52일째인 9월4일 조회수 1억 건을 넘긴 데 이어 공개 133일 만에 대기록을 썼다.(후략) 글-1 2012.11, 뉴시스 기사 일부 불과 1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우리나라 사람이 빌보드 차트 상위권에 오를 것이라 예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또한 우리나라 사람이 유투브 단일 조회 수로, 그것도 음악이라는 분야에서 1위에 오를 것이라 예상한 사람도 아무도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불과 4개월 만에 싸이는 그것을 이루어 냈다. 반면 강남스타일의 흥행 이전에 나온 한겨레 뉴스 기사를 살펴보자. 스티븐슨 : 사실 케이팝은 세계에서 작은 부분을 차지한다. 아시아에서는 상당한 영향력을 갖고 있지만, 서구에선 '쿨'한 음악으로 약간 알려져 있는 정도다. 이걸 과장해서 국수주의적 용어를 쓰는 것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 아직은 케이팝에 일회용이랄까, 인스턴트 음악의 성격이 있다. 5년 뒤에는 사람들이 다른 걸 찾을 수 있다. 지금의 케이팝 열풍에서 한걸음 물러나 목적과 방향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후략) 글-2 2012.6, 한겨레 기사 일부 기존의 가수들 역시 싸이와 같은 성공을 이루기 위해 음악을 영어가사로 바꾸고 퍼포먼스와 의상을 바꾸는 등의 노력과 함께 대대적인 홍보를 통해 해외시장을 공략하고자 했다. 원더걸스, 비, 소녀시대, 세븐과 같은 가수들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가수들로 대변되는 K-POP이 일본, 중국, 동남아와 같은 아시아 시장에서는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막대한 수입을 거두며 인기를 누리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참고문헌 논문, 단행본 김주현 안경모,「아시아국가에서의 K-pop 이용행동과 K-pop으로 인한 국가호감도 및 한국 방문의도 변화」, 한국컨텐츠학술논문지, 제12권, 제1호, 2012. 김진아, 「아이돌 중심 대중음악시장의 한계에 관한 연구 : 아이돌 가수 탄생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1. 김현회, 「DICON 2012 전문가가 바라보는 K-POP의 현황과 그 매력, K-POP은 잠재력이 있다!」, 한국콘텐츠 진흥원 2012. 9. 13. 변미영, 「K-pop이 주도하는 신한류 : 현황과 과제, KOCCA 포커스」,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 03. 15. 서민수, 「"K팝의 성공 요인과 기업의 활용전략"」, 삼성경제연구소, 2012. 송민정, 「'강남스타일', 한류의 글로벌전략 방정식을 다시 쓰다」, kt 경제경영연구소, 2012. 오세정, 「K-pop의 선호요인 : 미주지역의 K-pop소비자를 대상으로」, 주관성 연구, 제24권 205호, 2012. p8~13. 원용진 김지만, 「연성국가주의에 편승한 연예기획사와 한류의 미래, 한류 2.0시대의 진단과 분석」, 한국언론학회, 2011. 장규수, 「한국대중음악의 해외진출 사례와 전략 연구」, 글로벌문화컨텐츠학회 제 2호, 2009.6. 채지영, 신한류 발전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p 25. 한국콘텐츠진흥원, '일본 콘텐츠 산업동향', 한국콘텐츠진흥원 일본사무소, 2012년 14호, 2면 신문기사 강준만, "강남스타일은 한국사회를 어떻게 풍자하는가?", 뉴스트렌드리포트, 2012.08.19. 남승원, 「"인디디가수 리본, 독일서 인기몰이 인디도 한류다 "」, tvReport,2011.7.7. 서정민, 「"케이팝 아직은 일회용, 진정성 있는 메시지 전달해야"」, 남궁연-로버트 스티븐슨 케이팝 대담, 한겨레, 2012.6. 이재훈, 「 종합 싸이 강남스타일 유튜브에서 비버 추월 1위」, 뉴시스, 2012.11. 정명화, 「성룡 韓 아이돌 그룹, 비슷해 구분 안 간다 」, 조이뉴스, 2012.11.30. 최신애, 「싸이 왜 미국인처럼 행동해? 아시아 가수들에 일침」, 뉴스엔, 2012.11. 블로그 http://v.daum.net/link/16976642 http://blog.naver.com/myjucktoma?Redirect=Log&logNo=70111735658 키워드 강남스타일, 연구, 강남, 스타일, 강남스타, 성공 |
2017년 4월 27일 목요일
강남스타일 열풍과 K-POP의 발전방향
강남스타일 열풍과 K-POP의 발전방향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