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Ⅰ. 자산운용사란 - 정의, 분류, 연혁, 현황 - 증권사와의 비교 Ⅱ. 자산운용사의 역할 기능 Ⅲ. 자금의 조달과 운용 Ⅳ. 국내외의 자산운용회사 비교 Ⅴ. 최근 이슈(신문기사) Ⅵ. 직무와 취업 TIP 본문 자본시장법에서는 간접투자기구를 집합투자기구로 새로 변경하고 유한회사, 민법상 조합, 상법상 익명조합 등 민 상법상 설립 가능한 모든 기구로 그 범위를 확대하였다. (이유: 법상 다양한 투자기구 활용이 곤란하고 법령에 규제되지 않은 간접투자기구에 대해서는 투자자 보호 장치가 발동되지 않음) - 투자대상자산의 경우도 종래에는 투자증권, 장내 외 파생상품, 부동산, 실물자산 등으로 한정되었으나, 자본시장법에서는 '재산적 가치가 있는 투자대상자산'으로 포괄적으로 규정하였으며 집합투자기구 종류별 투자대상자산 또한 완화되었다. ◆ 자산운용사 vs 증권사 업무적인 측면에서 자산운용사와 증권사는 밀접한 관계에 있지만, 업무영역은 구분된다. 1. 자산운용사는 고객으로부터 투자금을 받아 운용하고 운용보수를 받음 2. 증권사의 수익모델은 자산운용사처럼 하나로 정리되지 않음 ① 주식시장에서 주식을 사고파는 것을 중개하고 거래금액의 일부분을 증권사가 가져감.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자산운용사는 투자를 하는데, 즉 자산운용사는 주식거래 중개에 있어서 증권사의 고객이 됨 ② 증권사는 지점을 통해 고객들을 만나고, 고객들에게 다양한 금융상품을 판매한다. 자산운용사가 만든 펀드를 증권사가 고객에게 판매하고 투자금의 일부를 증권사가 수수료로 가져감 → 협력관계 형성 ③ IPO (Initial Public Offering) -주식시장 상장 자문 증권사는 어떤 회사가 주식 시장에 상장할 때 관련 과정애 대해 자문을 해주고 수수료를 받음 키워드 금융기관, 금융, 기관, 운용, 자산 |
2017년 4월 30일 일요일
금융기관 조사 자산 운용 회사
금융기관 조사 자산 운용 회사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