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Ⅰ. 질문에 대한 답변 Ⅱ. 그림, 표, 미주 본문 Ⅰ. 질문에 대한 답변 1. 1-1) Why Groupon is so strict of merchant's suggestions? Groupon은 현재 업계의 leading company이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상인들에게서 offer가 들어오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Groupon이 들어오는 모든 제안을 수용할 수는 없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자사의 브랜드 가치를 지켜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Groupon은 소비자에게 경쟁사보다 낮은 가격으로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여겨지는 딜을 진행해야 한다. 얼마 전에 we make price에서 쉬크 쿼트로 티타늄(습식 면도기)과 관련된 딜을 진행하였다. 그런데 그 딜이 시작된지 며칠 안되서 티몬에서 같은 물품을 조금 더 저렴하게 판매하는 바람에 we make price는 왜 경쟁사보다 물건을 비싸게 파냐며 소비자의 거센 항의를 받았다. 한편 Case1.2에 나와있는 홍콩의 레스토랑 사례나 수업시간에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미국의 장난감 회사의 경우처럼, 물량처리를 적시에 하지 못해서 소비자의 불만을 야기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소비자는 그 소셜 커머스업체는 가격이나 주문처리, 기타 서비스 측면에서 신뢰할 수 없다고 생각하게 될 것이고 그 순간 해당업체는 시장에서 낙오될 것이다. Groupon의 엄격한 딜 정책은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비롯되었다고 여겨진다. 1-2) How will this policy impact the competition? Groupon의 엄격한 딜 정책은 소비자들에게 가격대비 품질이 좋은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인식을 남게 하여 Groupon이 진행하는 딜에 대한 신뢰를 갖게 할 것이다. 그리고 업체 입장에서는 Groupon과 딜을 진행함으로써 자신들이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질이 높다는 점을 소비자들에게 자연스럽게 어필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업체들은 Groupon과 거래하기 위해 더 낮은 가격에 더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딜을 제시하게 되고 이에 따라 Groupon의 브랜드 가치는 더욱 공고해질 것이다. 이런 선순환 구조 덕분에 Groupon과 경쟁사들과의 격차는 계속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2. Groupon을 두고 단순히 고객 이메일 리스트만 갖고 중개 수수료만 받는 업체라고 매도하는 것은 지나친 처사다. Case1.2의 본문에 나와있듯이 Groupon은 새로운 시장에 진입하기 전에 우선 성공적인 지역 업체들을 가려내는 작업부터 시작한다. 그 후 자사의 직원들을 보내 지역 시장에 대한 면밀한 연구를 진행한 후 판매사원을 파견하여 판매자를 설득하여 딜을 진행한다. 즉, Groupon은 시장조사단계부터 철저하게 진행하여 가능성 있는 시장의 database를 구축한 후 딜을 진행하는 업체이지 단순히 이메일 주소를 무기로 판매자들의 판매액을 중개수수료로 먹는 업체가 아니다. 키워드 인터넷경영, 그루폰, Groupon, 인터넷, 분석 |
2017년 4월 28일 금요일
인터넷경영 그루폰 Groupon 분석
인터넷경영 그루폰 Groupon 분석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