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4월 20일 목요일

예능프로그램 `1박 2일` 조직분석

예능프로그램 `1박 2일` 조직분석
예능프로그램 `1박 2일` 조직분석.hwp


목차

1. 관리론
1. 1. 과학적 관리론
1. 2. 인간관계론
1. 3. 체제이론
2. 행위론
2. 1. Maslow의 욕구계층이론
2. 2. Herzberg의 동기 위생이론
2. 3. McGregor의 X Y이론
2. 4. Argyris의 미성숙 성숙이론
3. 지도론
3. 1. 사회 심리학적 접근
3. 2 형태론적 접근
3. 3. 상황중심적 접근
4. 경영론
4. 1. 결과 지향적 경영
4. 2. 교육경영과 기획예산제도
4. 3. 교육경영과 목표관리기법
5. 조직론
5. 1. 여러 가지 조직의 정의에 바탕을 둔 1박 2일' 조직 분석
5. 2. '1박 2일' 조직의 유형
6. 1박 2일의 조직모형


본문
1. 관리론

1박 2일은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나라, 하지만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이 나라에서 숨겨진 곳곳의 아름다운 명소들을 찾아 소개하는 프로그램이다. 국내여행을 권장하면서 동시에 관광 사업을 통한 지역사업을 활성화 시키는 데 기획의도를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 하에 7명의 출연진과 80여 명의 제작진이 모여 하나의 조직을 형성하고 있다.
이 조직이 어떻게 관리되어지는지 관리론에 입각하여 분석해 볼 수 있다.

1. 1 과학적 관리론
1박 2일은 KBS의 간판 예능으로 궁극적으로 '시청률'이라는 물질적 보상을 추구하고 있지만 프로그램의 전개는 제작진이 출연진에게 미션을 쥐어주고 나머지 세부적인 사항들은 출연진들이 자율적으로 구성하는 구조를 띄고 있다. 방영되는 프로그램으로 조직을 분석할 때 주어진 미션을 틀에 딱딱 맞추기 보다는 유동적이고 편안한 분위기로 전개하고 있기 때문에 철저한 생산성 위주의 조직 관리기법으로 설명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288회에서 7개의 휴게소 중 유해진이 있을 것 같은 휴게소를 추측해 유해진을 찾아내는 미션을 보면 이러한 1박 2일의 성격을 잘 알 수 있다. 도박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시청자들로 하여금 흥미를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궁극적인 목표인 시청률 상승을 이루었지만 '절약과 능률'을 기본 원칙으로 하는 과학적 관리론에 입각하여 관리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방송되는 프로그램이 아닌 프로그램 자체를 구성하는 구성원들 사이로 시선을 돌려 해석할 때 곳곳에 과학적 관리론적인 요소를 찾을 수 있다. 1박 2일은 크게 방송을 담당하는 출연진과 연출을 담당하는 제작진으로 나뉘고 또 제작진들은 PD, 카메라 감독, 조명 감동, 작가 등으로 세분하여 각 역할에 그에 맞는 적임자가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띄고 있다.
또한 같은 목표 하에 함께 하고 있는 출연진, 제작진들 사이에서도 그들의 역할이나 능력에 따라 출연료와 봉급이 결정되어 차등 지급된다는 점에서도 과학적 관리론의 성격을 찾아볼 수 있다.

1. 2. 인간관계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박 2일은 주어진 미션을 출연진들끼리 자유롭게 구성해 나간다. 출연진들에게도 엄연히 출연료의 상하가 구분되겠지만 미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출연진들 간의 우위는 없어 보인다. 캐릭터의 특성상 미션을 주도한다거나, 재미를 위해 줄곧 당한다거나 하는 역할상의 차이는 있지만 각자가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면서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다. 이러한 출연자들끼리의 자연스러운 인간관계가 시너지효과로 발휘되어 시청자들을 TV앞으로 끌어들인다.



참고문헌
박연규(2004). 공영방송 KBS의 조직문화와 가치지향성. 한국언론정보확보. 24.93-117


키워드
조직분석, , 예능프로그램, 분석, 조직, 프로그램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