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기호란무엇인가 2.기호이론 -소쉬르, 퍼스 3.기호의 종류 4.언어기호 5.언어기호의 분류 6.언어기호의 특성 7.언어의 도상성,지표성,상징성 본문 1. 기호란 무엇인가 1) 기호란 무엇인가 기호는 무엇인가를 대신 의미해 주는 어떤 물리적 실체를 말한다. 즉 어떤 요소의 대용물이 되어 그것을 표상하는 것이다. A 자체가 아닌 제 3의 존재 B가 A를 대신 나타낼 때 B를 기호라고 부를 수 있다. '우주 전체가 기호들로 가득 차 있다.'는 기호학자 퍼스(Peirce)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우리는 온통 기호에 포위되어 있다. 공기와 마찬가지로 기호는 인간의 존재를 규정하는 피할 수 없는 요소이다. 어찌 보면 문명화라는 것이 기호화의 심화, 확대 과정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2)기호에 대한 세 가지 시선 모리스는 기호를 정의하는 세 가지 방법을 제안한 바 있으며, 실제로 기호는 다음 세 가지의 차원에서 지각될 수 있다. 1. 의미론적 차원; 기호는 그것이 의미하는 것과의 관계를 통해 정의될 수 있다. 2. 통사론적 차원; 기호는 다른 기호들의 연속체에 도입되는 방법에 근거하여 특정한 조합 규칙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사실 통사론은 기호가 전달하는 시니피에와 무관하게,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어떠한 시니피에도 전달하지 않는 기호까지를 포함하여 시니피앙 부분의 내적 구조에 대한 연구를 가리키기도 한다. 3. 화용론적 차원; 기호는 그것의 근원과 수신자에게 마칠 수 있는 영향, 그리고 수신자들의 기호 사용법 등에 근거하여 정의될 수 있다. 참고문헌 최상진 외, 『언어 이야기』, 경진문화사, 2003. 움베르토 에코, 『기호개념과 역사』, 열린책들, 2000. 줄리아 크리스테바, 『언어, 그 미지의 것』, 민음사, 1997. 기호학연대, 『기호학으로 세상 읽기』, 소명출판, 2002. 움베르토 에코, 『기호학과 언어철학』, 청하, 1987. 서정철, 『기호에서 텍스트로』, 민음사, 1998. 김치수 외, 『현대기호학의 발전』,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프랑수아즈 가데, 『소쉬르와 언어과학』, 동문선, 2001. 하고 싶은 말 국어국문학과 1학년 언어의이해 D형 언어기호의 특성을 설명하시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키워드 언어의이해, 기호, 언어기호, 언어기호의특성 |
2017년 10월 2일 월요일
방통대 2017-2 언어의이해 D언어기호의 특성을 설명하시오
방통대 2017-2 언어의이해 D언어기호의 특성을 설명하시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