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 서론 2. 본론 2-ⓐ 주제 구현을 위한 표현 2-ⓑ 주제 구현을 위한 구조 3. 결론 본문 뎨 가 뎌 각시 본 듯도 뎌이고. 텬天샹上 白옥玉경京을 엇디 야 니離별別 고, 다 뎌 져믄 날의 눌을 보라 가시 고. 어와 네여이고 내 셜 드러 보오. 내 얼굴 이 거동이 님 괴얌즉 가마 엇딘디 날 보시고 네로다 녀기실 나도 님을 미더 군 디 전혀 업서 이 야 교 야 어 러이 구돗 디 반기시 비치 녜와 엇디 다 신고. 누어 각 고 니러 안자 혜여 니 내 몸의 지은 죄 뫼 티 혀시니 하 히라 원망 며 사 이라 허믈 랴. 셜워 플텨 혜니 ①조造믈物의 타시로다. ▶ 서사2: 을녀의 대답 참고문헌 논문 김형태(2005), 「대화체 가사 연구」,연세대학교 박사논문, pp137~187 서영숙(1995), 「<속미인곡>과 <성산별곡>의 대화양상 분석」,『한국고시가문학회』 ,85p~104p 박춘우(1996),「<속미인곡> 연구」,『대구어문론총』,14호, pp.323~344 김선기(2012),「속미인곡의 네가지 쟁점에 대하여」,『어문연구학회』,71권, pp.99~124 *단행본 최태호(2000),『松江文學論考』 , 역락, pp.355~381 김삼불(1999),『송강가사 연구』, 한국문화사, pp.180~190 *기타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4336&cid=40942&categoryId=32868 키워드 특징, 속미인곡, 분석, 인문, 부 |
2017년 10월 2일 월요일
인문 `속미인곡` 문학적 특징 분석
인문 `속미인곡` 문학적 특징 분석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