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 태국 국가 정보 2. 문화적 한류 현황 3. 경제, 문화적 파급효과 4. 태국 내 한류의 강, 약점 5. 앞으로의 발전방안 본문 양 국가간 수교와 우호적인 외교 관계 한-태 FTA : 한류 콘텐츠 사업 수출에 청신호 다른 문화 콘텐츠에 비해 상위권적인 우위 K POP, 인기 드라마 여파 좋은 이미지 구축 취약 문화 콘텐츠 함양 태국 영화 관객에 맞는 트렌드 영화 기획, 제작 한-태 합작을 통한 영화 제작 및 관객 유치 - ex) 헬로 스트레인저의 성공, 더 킥 개봉 등 타국 문화 유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반한류 움직임 포착 및 대응:문화 상호작용 태국 문화와의 상호 작용 건전하고 깨끗한 이미지 이용 (게임 팡야의 마케팅) 참고문헌 주요국 한류와 문화산업 시장 동향, KOTRA, 2006 2010 해외한류동향,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2011 2009 상반기 한류 콘텐츠 현황, 한국콘텐츠진흥원, 2009 한류, 유행에서 산업으로 성장하는 아시아, KOTR, 2006 반한류 현황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9 태국의 한국어 교육 현황, 한국어문학연구학회, 2009 태국의 이해, 한국태국학회, 2005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http://www.kotra.or.kr 영화진흥위원회, http://www.kofic.or.kr 한국콘텐츠진흥원, http://www.kocca.kr K POP, 인기 드라마 여파 좋은 이미지 구축 키워드 한류, 대중예술, 태국, 아시아, 예술 |
2017년 10월 9일 월요일
대중예술과 한류 신 한류 - 아시아에서 세계로 (태국 편)
대중예술과 한류 신 한류 - 아시아에서 세계로 (태국 편)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