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 주거규정의 변화와 고부갈등 2. 개념 정리 3. 통시적인 관점으로 살펴본 여성의 지위 4. 조선시대 5. 현대의 주거규정과 관련하여 고부갈등 원인과 형태 분석 6. 인터뷰 분석 7. 고전작품 분석 - '여로'를 통해본 과거 사회의 고부갈등 8. 현대 작품 분석 - '유리의 성'을 통해 본 현대 사회의 고부갈등 10. 연극 11. 고부갈등 해결방안 12. 변화에 따른 고부갈등에 대한 결론 및 추론 13. 참고문헌 본문 가부장적인 과거에는 가정 내 여성의 지위가 매우 낮았다. 강력한 남아선호사상이 존재하던 그 시기에 아들은 여성이 가정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존재였고, 심리적 방파제 역할을 했다. 이런 상황에서 시어머니는 아들을 며느리에게 빼앗겼다는 심리적 박탈감과 상실감으로 며느리에게 부정적인 감정을 가질 수밖에 없었고, 며느리는 이러한 시집살이를 순종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효를 행하는 길로 생각하며 묵묵히 견뎌내었다. 시집살이를 한층 강화시킨 것은 사회의 주거규정이었다. 특히 시집살이가 심했던 조선의 부계중심사회와 연결되어 혼인한 부부가 시댁에서 시부모와 함께 생활하는 경우가 가장 보편적인 주거규정이었기 때문이다. 이는 곧 여성이 남편 쪽 가정에 편입되어져 가는 과정으로 이어졌고 부계제와 같은 출계율로 이어졌다. 가족 내 여성의 지위는 매우 낮았고, 그 중에서도 시댁에 편입되어 들어온 며느리는 효를 행해야한다는 이유로 시부모에게 절대적으로 순종적이 되어야 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는 형제 서열 없이 분가, 차세대 주거단위 및 경제적 독립의 용이성, 여성 전문교육 보편화로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대되면서 부자관계가 주축을 이루던 가족 구조가 부부중심의 가족구조로 변화되는 가족관계의 변모를 가져왔다. 효가 가장 중시되던 사회의 가치관 역시 변화되었고, 부모는 과거에 비해 절대적인 권위를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무조건적으로 시부모에게 순종하던 며느리들은 점차 가정 내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또한 윗세대에게 무조건적으로 순종하던 현재의 어머니 세대는 실질적으로 정신적인 면에서 타격을 받고, 자신과 다른 가치관을 지낸 며느리 세대와 새로운 갈등을 자아내고 있다. 참고문헌 참고자료 「우리 여성의 역사」- 청년사 「고부관계의 심리학」- 박정희 저 (학지사) 「장남과 그의 아내」- 김현주 저 (새물결) 「가정생활과 인간관계」- 김형태 저 「장가가고 시집가고」- 송기호 저 한국심리학회지 : 여성 1998 -고부 갈등 완화를 위한 탐색적 고찰 - 최효일(우석대 심리학과) 한국여성철학 창간호(2001) - 한국 가족내 여성의 갈등에 대한 철학적 분석 (고부갈등을 중심으로) -김선희(서강대 철학과) 여성과 철학 - 한국 문화와 고부갈등의 문제 -김선희(서강대 강사) 가족관계학 -유영주, 김순옥, 김경신 내일신문 - 2011-09-02 광주 여성 전화 - http://www.gjhotline.org/ SBS 홈페이지 (현대 작품 : 드라마 "유리의 성") - http://www.sbs.co.kr/ 블로그 - http://blog.naver.com/ssmhistory/110003471458 - http://blog.naver.com/js1440/80009356480 - http://blog.naver.com/hot519/memo/150125224052 - http://rucykay.blog.me/60118104625 - http://ybr74.blog.me/50086466450 - http://blog.naver.com/newjunggu?Redirect=Log&logNo=120018333927 - http://blog.naver.com/zang8025?Redirect=Log&logNo=30110708362 - http://blog.donga.com/ilovebsy/archives/49 일본 사이트 - http://to4roh.nobody.jp/talk08_4.htm - http://www.yoki-jyouhou.com/index.html - http://to4roh.nobody.jp/talk08_4.htm 키워드 고부갈등, 가족, 가족생활문화, 거주규정, 고부 |
2017년 10월 8일 일요일
가족생활문화 거주규정과 가족 내 여성의 지위-고부갈등 중심으로
가족생활문화 거주규정과 가족 내 여성의 지위-고부갈등 중심으로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