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0월 8일 일요일

정치외교학 탈냉전기 미국의 대중앙아시아 정책

정치외교학 탈냉전기 미국의 대중앙아시아 정책
[정치외교학] 탈냉전기 미국의 대중앙아시아 정책.hwp


목차
Ⅰ.서론

Ⅱ.탈냉전기 미국의 대중앙아시아 정책
1. 클린턴 행정부의 대중앙아시아 정책 3p

2. 부시 행정부의 대중앙아시아 정책 5p

3. 오바마 행정부의 대중앙아시아 정책 7p
1) 중앙 아시아의 변화
2) 오바마 행정부의 대중앙 아시아 정책
Ⅲ.결론




본문
Ⅰ.서론
냉전 이후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 중에서도 중앙아시아가 세계열강 등의 새로운 각축지로 등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변화된 국제 환경 속에서 미국 행정부의 대중앙아시아 정책이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론에서는 대통령 별 대중앙아시아 정책과 함께 중앙아시아의 변화에 대해서 살펴 볼 것이다.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냉전 冷戰, cold war 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자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양극체제하에서 사회주의진영과 자본주의진영 간의 정치 외교 이념상의 갈등이나 군사적 위협의 잠재적인 권력투쟁을 말하며 이러한 냉정의 요인을 없애거나 냉전에서 벗어나는 것을 탈냉전 脫冷戰 이라고 말한다.
*중앙아시아 中央─, Central Asia
범위는 일정하지 않으나 작게는 파미르고원을 중심으로 동(東)투르키스탄으로 불리는 중국의 신장웨이우얼자치구와 서(西)투르키스탄으로 불리는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의 4개 공화국 및 카자흐스탄 남부를 합친 5개 지역을 가리키며, 넓게는 몽골(몽골과 중국의 네이멍구자치구), 중국 칭하이성, 티베트자치구, 아프가니스탄, 러시아의 알타이까지를 포함한다.


키워드
대중앙, 아시아, 정치외교학, 탈냉전기, 대중앙아시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