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4월 27일 목요일

국내외 공동물류센터 사례연구

국내외 공동물류센터 사례연구
국내외 공동물류센터 사례연구.hwp


목차

Ⅰ.
공동물류센터
Ⅰ-1.
공동물류센터의 정의
Ⅰ-2.
공동물류센터의 기능
Ⅱ.
국내 공동물류센터
Ⅱ-1.
국내 공동물류센터 배경
Ⅱ-2.
국내 공동물류센터 사례

1) 광양항

2) 부산항 신항
Ⅲ.
해외 공동물류센터
Ⅲ-1.
해외 공동물류센터 배경
Ⅲ-2.
사업 개요 및 목적
Ⅲ-3.
KOTRA 해외 공동물류센터의 운영 현황
Ⅲ-4.
KOTRA 해외 공동물류센터 사례
Ⅲ-5.
해외 공동물류센터의 운영 및 이용 시 애로사항



본문
Ⅰ. 공동물류센터

1. 공동물류센터의 정의

공동물류센터란 배송 업무활동을 필요로 하는 판매업자를 대상으로 배송 비용을 절감시키고, 고객 서비스 및 차량 적재율 향상을 돕기 위하여 만든 공간이다. 주로 자체적으로 물류센터를 설립하기 어려운 환경에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곳으로, LCL(Less than Container Load)화물들의 혼재작업들이 이루어지기도 하고, CFS(Container Freight Station)나 CY(Container Yard)로 넘어가기 전 일정기간 보관 역할 또한 수행도 한다. 공동물류센터를 설립하기 위해서는 공동의 물류창고와 운송차량, 정보시스템 구축을 필요로 한다. 공동물류센터를 이용함에 따라 공급자들은 개별적으로 창고, 차량,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비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수요자들은 동일한 제품군을 한꺼번에 들여올 수 있는 편리함이 있어, 공동물류센터의 이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의 공동물류센터 설립에도 정부 차원에서 적극 지원을 하고 있는데, 이는 KOTRA에서 담당하고 있다. 해외 공동물류센터는 제 3자 물류형태를 띠고 있는데, 현지의 공동물류창고 운영사를 아웃소싱하여, 동 전문기업의 풍부한 경험과 탄력적인 창고운영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국내 참가업체의 물동량을 활용하여 공동물류창고 운영사와 물류비 단가 인하 협상을 한 결과 국내업체가 개별적으로 공동물류창고 운영사를 이용할 때 보다 10 ~ 20% 이상 저렴하게 공동물류창고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끝으로 국내업체는 공동물류창고의 이용실적에 따라 수수료를 납부하도록 되어 있어 고정경비 지출 (예: 연간 창고 임차료)이 필요 없고 현지 시장상황에 신축적으로 대응 (예: 비수기에 장기간 제품 보관 불필요) 할 수 있으므로 국내업체로부터 좋은 호응을 얻고 있다.

2. 공동물류센터의 기능
주요 공동물류센터의 기능은 물류비 절감이며, 해외 공동물류센터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물류비 절감이 외에도 납기단축, 물류센터 운영에 있어 전반적인 지원 및 마케팅 활동 지원이 있다.

1) 물류비 절감
물류센터 공동 이용으로 최소 10% 이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납기단축
Order 수주 후 출하까지 납품 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3) 물류계약 및 운영 등 제반 행정적인 지원과 같은 행정편의를 제공
4) (지사화-물류패키지 가입시) 바이어와의 업무연락, 신규 바이어 발굴지원 등 마케팅 활동을 지원



참고문헌
KOTRA - "해외 공동물류센터 중장기 방안"
해운산업연구원 - www.kspli.wo.to
물류신문 - www.klnews.co.kr
부산항만공사 - www.busanpa.com/service
국토해양부 - "항만배후단지 복합물류 기지로 진화" 광양항 공동물류센터 개장
여수광양항만공사 www.portgy.com
한국항만협회 최상헌, "황금물류센터 건립으로 본 광양항 자유무역지역의 미래"


키워드
물류, 공동, 센터, 공동물류센터, 해외, 창고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