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4월 27일 목요일

구비문학, 무가의 유형과 원본 및 의미

구비문학, 무가의 유형과 원본 및 의미
구비문학, 무가의 유형과 원본 및 의미.hwp


목차
1. 무가의 지역적 보편성과 특수성

2. 무가의 유형

3. 무가의 원본-무가의 의미


본문
1. 무가의 지역적 보편성과 특수성

가. 보편성
(1) 내용 : 부정(굿 서두에 불리며 제의 공간을 정화), 청신(신을 청함),
송신(제의에 몰려든 신들을 돌려보냄)
⇒ 명칭에는 차이가 있으나 부정, 청신, 송신의 내용은 일치한다.
(2) 송신 다음에 각신에게 올리는 무가도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 조상굿, 삼신굿, 손님굿 등

나. 특수성
(1) 무악의 차이 : 무악(무속에서 사용되는 음악)의 차이는 그 지역의 전통적 민속악과 깊은 상관성을 가진다.
→호남지역-살풀이 가락 주조, 경기지역-타령조, 황해도 지역-산염불가락


키워드
무가, 지역, 송신, 차이, 특수성, 무악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