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 유한킴벌리 소개 (1)기업소개 (2)개요 (3)SWOT 분석 (4)사업분야 2.유한킴벌리 윤리경영 분석 (1) 윤리규범 (2) 행동규범 (3) 연구개발 (4) 지속경영 (5) 환경경영 (6) 사회공헌 활동 3.유한킴벌리 윤리경영 평가 (1) 윤리경영의 필요성 (2) 유한킴벌리 전문경영자의 사회적 책임 4.방안과 시사점 (1) 방안 (2) 시사점 본문 출생-사망: 1895년(평안남도 평양) - 1971년 학력: 미시간대학교 졸업 수상: 1996년 6월의 문화인물 독립운동가 선정 경력: 1970년 재단법인 유한재단 설립, 1969년 유한양행 회장, 1946년 상공회의소 초대회장 9살에 미국 유학길에 오르다 1895년 평양에서 9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난 유일한 박사는 "서양 문물을 배워서 나라를 구하는데 힘쓰라"는 아버지의 뜻에 따라 9살 때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그는 미국 네브 래스카 주 커니라고 불리는 작은 농촌도시에 정착한 후 어린 나이였지만 신문 배달 등의 아르바이를 하면서 열심히 공부했다. "우리나라는 아직 일본의 지배를 받고 있어! 힘없는 나라를 살리는 길은 사업밖에 없다." 우수한 성적으로 미시간대학교에서 학업을 마친 그는 미국에서 배운 지식을 갖고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를 깊이 고민한 결과, 기업인의 길을 선택했다. 1922년 숙주나물 통조림을 파는 라초이 식품회사를 차려 큰돈을 벌게 된다. 나라 되찾기 위해선 국민 건강부터! 유일한 박사는 일본의 강제 지배 아래에서 가난과 질병으로 고통 받는 우리 민족의 현실을 보고 귀국할 것을 결심한다. "국민이 건강해야 잃어버린 주권을 되찾을 수 있지. 사람들을 위해서 의약품 회사를 세우고 좋은 약을 만들어야겠다!" 1926년 미국 재산을 정리해 한국으로 돌아온 유 박사는 제약 회사인 '유한양행'을 설립했다. 국민 건강에 도움이 되기 위해 우수의약품을 국내에 들여오고, 개발하는 등 좋은 제품으로 나라와 민족을 위해 봉사하고자 했다. 1936년에는 개인 회사였던 유한양행을 주식회사로 바꿨다. 직원을 회사의 주인으로 생각해 종업원들에게도 주식을 골고루 분배해줬다. 국내기업으로는 최초로 종업원들이 주인인 '종업원 지주제'를 실시한 셈이었다. 이와 같은 경영 철학은 어려운 시기에도 사원들이 회사를 떠나지 않고 지켜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원동력이 됐다. 참고문헌 www.yuhan-kimberly.co.kr www.kcsma.or.k r www.assist.ac.kr www.bcp.or.kr www.nso.go.kr www.seri.org www.fnnews.com www.etoday.co.kr 문국현과 함께 만드는 도덕이 밥 먹여주는 세상 - 문국현, 화서, 2009 사람이 희망이다 - 문국현, 웅진윙스, 2007 문국현 솔루션 - 서재경, 환경재단도요새, 2007 문국현은 어떻게 유한킴벌리를 재창조했는가? - 최진남, 성선영, 한즈미디어, 2007 숲을 사랑한 사람, 문국현 - 김숙분, 문희정, 가문비, 2006 유한킴벌리 - 문국현, 조동성, 한즈미디어, 2005 대한민국 희망보고서 유한킴벌리 정혜원, 거름, 2004 키워드 연구원, 정책, 평가, 한국, 환경, 면접기출문제 |
2017년 4월 20일 목요일
유한킴벌리의 윤리경영 분석 및 평가
유한킴벌리의 윤리경영 분석 및 평가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