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제 6장 비극의 정의와 비극의 질적 구성 요소 제 7장 플롯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제 8장 플롯의 통일성 제 9장 시인은 개연적인 것과 보편적인 것을 그려야 함. 제 10장 단순한 플롯과 복합적 플롯 본문 폴뤼그노토스 : BC 5c의 그리스 화가. 성격화가로 유명하고 이상주의적 경향이 강함. 3. 비극에서 가장 매혹적인 급전과 발견이 플롯에 속함 4. 작시의 초심자들은 사건의 결합보다 조사와 성격 묘사에서 성공을 거둠. 조사란, 운문의 작성, 즉 언어로 사상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함. 원어는 lexis이고 대부분의 영역본에는 diction으로 번역됨. D.W.Lucas는 '말을 이해할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전 과정을 포함한다'고 언급. 플롯은 쉽게 기억할 수 있는 길이를 가져야 한다. 다만, 전체를 쉽게 통관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는 길면 길수록 좋다. 주인공의 운명이 일련의 개연적 또는 필연적 경로를 통해 전환이 가능한(불행->행복, 행복->불행) 길이라면 그 한계로 충분. 개연적 사건에 의하여 플롯이 구성→임의의 이름이 등장 인물들에게 붙이기 Cf) 풍자 시인들이 특정한 개인에 대하여 시를 쓰던 것과는 다른 수법 키워드 시학, 장, 장 |
2017년 8월 29일 화요일
시학 제 6장 ~ 제 10장
시학 제 6장 ~ 제 10장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