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목 차 들어가며 1. 서론 1.1 정상적인 물의 순환 과정 1.2 잘못된 물의 순환 과정 2. 본론 피해상황 2.1 홍수 2.2 가뭄 3. 결론 해결방안 본문 중국도 매년 홍수로 인한 피해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작년 한해동안 수재로 인한 사망자가 2천명이 넘고, 경제적 손실액은 약 34조원 가량 발생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올해 여름에도 중국 동남부 지역에 50년만에 닥친 최악의 홍수로 곳곳이 물에 잠겼다. 이로 인해 장쑤(江 ), 저장(浙江), 안후이(安徽) 등 13개 성내 86개 도시, 510개현에서 3천657만명의 수해를 입었으며, 164만2천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직접적인 재산피해액도 5조8천763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 가뭄 가뭄은 그 원인과 기준, 미치는 영향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부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기후학적 가뭄 : 사용 가능한 물로 전환된 강수량이 기후학적 평균에 미달하는 것을 말한다. 기후학적 평균이 계절별로 다르고 또 날짜별로 다르며, 지역별로도 다른데 각기 해당지역, 해당 날짜의 평균치와 비교하여 수치로 나타낸다. 가뭄지수 중 EDI , SPI 는 여기에 속하며 부족 정도를 표준화된 지수로 나타낸다. 기상학적 가뭄 : 강수량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기후학적 가뭄과 같으나 강수량 외에 증발량, 증산량 등을 고려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증발량, 증산량 등은 같은 지역이라면 계절별 평균이 크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큰 기 참고문헌 참고문헌 물과 미래 (한국수자원공사) 참고싸이트 네이버 백과사전 위키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www.kwater.or.kr http://blog.naver.com/habitatkorea?Redirect=Log&logNo=30121780546 http://blog.naver.com/cjy02120?Redirect=Log&logNo=130122354804 http://cafe.naver.com/c40youth.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515& http://www.segye.com/Articles/SPN/ENTERTAINMENTS/Article.asp?aid=20100927003624&subctg1=&subctg2= http://bagguy.net/62810141 http://blog.naver.com/0469kym?Redirect=Log&logNo=90110228278 키워드 물의, 순환, 가뭄, 피해, 변화 |
2017년 8월 29일 화요일
물의 순환 변화에 따른 피해(홍수와 가뭄)
물의 순환 변화에 따른 피해(홍수와 가뭄)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