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아동의 훔치기 I. 어떤 경우에 '훔치기'로 볼 것인가? II. 훔치기와 정신건강 문제와의 관련성 III. 훔치는 행동의 이유 IV. 훔치기를 효과적으로 다루는 방법 V. 훔치기를 예방하는 방법 * 참고문헌 본문 아동의 훔치기 40대 중년부인 클라이언트가 초등학교 5학년 아들이 있는데 도벽이 심하다고 하며, 아들 방에 들어가 보면 이것저것 물건이 있어 물어 보면 친구들에게 선물 받았다 고 하는데 추궁을 해보면 문방구나 선물 코너에서 훔쳤다 고 한다며 이런 경우가 한두 번이 아니어서 쉽게 고쳐지지 않을 것 같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지를 상답해 왔다. 인간서비스 영역에서 부모교육과 상담을 하다 보면 자주 접하는 질문이다. 아동의 훔치는 행동에 대한 이해와 대처방법을 알아보자. I. 어떤 경우에 훔치기 로 볼 것인가 훔치는 행동은 부모나 교사가 비교적 자주 접하는 문제행동 중의 하나이다. 훔치는 행동 자체의 특성상 은밀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훔쳤지 , 아니다 , 솔직히 말해라 , 정말 안 그랬다 식으로 실랑이를 하는 경우가 맡다. 그러므로 실용적인 정의(definition)는 자신의 소유가 아니거나, 가지고 있어서는 안 되는 그 어떤 것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에 일단 훔친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므로 이 정의에 따르면, 빌린 것이다 , 선물 받은 것이다 , 우연히 주운 것이다 라는 변명을 하더라도 훔친 것으로 보는 것이 옳다.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하고 싶은 말 레포트 작성에 참고가 되시길 바랍니다 키워드 도벽 |
2017년 8월 27일 일요일
아동의 훔치기(도벽)
아동의 훔치기(도벽)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