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8월 29일 화요일

유교의 종교성

유교의 종교성
유교의 종교성.hwp


목차
목차

1. 종교의 의미
1.1 종교의 어원
1.2 종교의 정의

2. 종교간의 비교
2.1 유교와 기독교의 공통점과 차이점

3. 유교의 종교성
3.1 유교는 종교인가?
3.1.1 하늘의 의미
3.2 天命之謂性(천명지위성)
3.3 天生德於予(천생덕어여)

4. 결론



본문
둘째로, 유교의 종교적 용어는 기독교의 용어와 유사한 데가 있지만 전혀 다른 개념과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어느 날 공자가 병이 위독했을 때에 자로(子路)는 병을 낫기 위하여 신께 기도할 것을 공자에게 청하였다. 그 때 공자는 "내가 그러한 기도한 지 오래 되었다."고 기도를 거절하였다. 그는 신의 뜻에 합당하게 살아왔으므로 이제 와서 구태여 의식적으로 기도할 필요가 없다고 느꼈던 것이다. 공자는 "하늘에 죄를 얻으면 빌 곳이 없다."고 하였다. 이 말은 위나라 왕손가(王孫賈)란 사람이 공자에게 "방 속 신에게 아부하기보다는 차라리 부뚜막 신에게 아부하라는 속담은 무슨 뜻입니까?"라고 묻자 공자가 대답하기를 "그 속담은 옳지 않다. 하늘에 잘못을 저지르면 빌 곳이 없다."고 하였다. 그 자신이 불성실하여 옳은 도리에 어긋나면 빌어도 소용이 없다는 깨우침의 예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공자는 "괴이한 일, 힘쓰는 일, 난도질 및 귀신에 관해서는 말하지 않았다."고 하였다. 본질적으로 죄가 시작된 동인(動因)은 인간이 하나님의 말씀을 거역하고 금지된 선악과를 마음대로 따먹어 "하나님과 같이 되어 선악을" 알려 하는 교만의 욕망에서부터 비롯된 것이다(창 3:4-5). 죄는 하나님의 권위와 영역에 대한 반역이다. 이것은 단순히 남의 주차장에 불법으로 주차하는 따위의 사소한 위반이 아니다. 죄는 하나님과의 분리를 뜻하는데, 실제로 그러한 분리가 죄로 인하여 발생하게 되었다. 죄의 값은 그뿐만이 아니다. 러시아의 소설가 도스토예프스키(Feodor M. Dostoevsky. 1821-1881)의 표현을 빌리면 "망할 선과 악은 우리로 하여금 무서운 값을 치르도록 하였다."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느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9롬 3:23).율법은 죄에 대한 인식을 일부분 전달해 주는 수단이다. 이 점에 대하여 사도 바울은 이렇게 고백하였다. "율법으로 말미암지 않고는 내가 죄를 알지 못하였으니 곧 율법이 탐내지 말라 하지 아니하였다면 내가 탐심을 알지 못하였으리라 이는 법이 없으면 죄가 죽은 것임이니라 전에 법을 깨닫지 못할 때에는 내가 살았더니 계명이 이르매 죄는 살아나고 나는 죽었도다"(롬 7:7-9, 비교. 고전 15:56-57). 그것은 사도 바울이 한때 율법만을 알고 영적 지식이 부족했으므로 죄에 대해 부지했었다는 것을 알리고 있다. 공자의 교리는 영혼과 내세의 신비에 대해서는 관심을 두지 않고 유교적 율법이라고 할 수 있는 인(仁), 의(義), 예(禮), 지(智)의 인본주의 태도를 취하였다. 공자는 인간 자신의 인격수양에 기초를 두면서 종교와 윤리의 두 영역을 자유롭게 왕래하는 듯한 인상을 주면서도 결국 윤리를 통한 이상 세계의 도달에 이상을 두었다. 그러한 점에서 그는 철저한 인본주의를 지향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셋째로 삶과 죽음에 대한 문제이다. 공자는 죽음(死)이라는 말의 사용보다는 삶(生)이란 말을 더욱 중요하게 여겼다. 계로(季路)가 공자에게 귀신 섬기는 것에 대해 물었더니 "사람을 섬기지 못하고서야 어찌 귀신을 섬길 수 있겠느냐?"고 하였다. "죽음에 관해서 여쭙습니다." 하였더니, "삶을 모르고서야 어찌 죽음을 알겠느냐?"고 하였다. 가노 나오키는 공자가 귀신의 존재를 믿지 않았으나 다만 자기의 성의를 다하기 위하여 짐짓 귀신을 가상하여, 이에 대해 갖가지 제사를 했다고 말하기까지 한다.
그렇다면 공자는 조상을 제사 하는 문제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였는가? 논어에 "살아 있


참고문헌
<참고문헌>
금장태(2001), 『한국유교의 이해』, 한국학술정보.
방지형(2000), 『세계종교와 기독교, 어떻게 다른가』, 영성
성백효(2002), 『역주 심경부주』, 전통문화연구회
이기동(2005), 『논어강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학의동(1995), 『한국의 유학 사상』, 저광사.
황의동(2004), 『위기의 시대, 유학의 역할』, 저광사.
『중용』
http://ko.wikipedia.org/wiki/%EC%A2%85%EA%B5%90
대한예수교장로회 기독교학교 협의회 발행 종교(기독교) 종교와 인간


키워드
종교성, 유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