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N스크린 도입배경 과정 미디어의 입장 1) 지상파 2) 지역 민방 이용자의 입장 N스크린 전망 본문 미디어의 입장 1) 지상파 처음 KBS는 N스크린 서비스 사업 시작을 꺼려 했다. KBS는 시청료를 받고 운영하는 공영방송 이므로 N스크린 형태로 상업적인 방송을 제공할 경우 논란에 휩싸일 수도 있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소극적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미디어 흐름의 한 축으로써 받아들이고 'k플레이어'을 출시했다. 플레이어'로 보는 시청률이 TV수상기를 통해 보는 것 보다 많게는 10배까지 늘고 있다. 앞으로의 'k플레이어' 사업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이다. MBC는 SBS와 연합하여 'pooq(푹)' 이라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 이는 지상파 방송사 중 최초로 시작되는 N스크린 서비스 방송이라는 의미가 있다. Pooq은 콘텐츠 관련 정보 (CRI) 기능도 있다. MBC는 바로 수익을 창출할 것이라는 기대 보다는 미래 수익 모델로서의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다. 키워드 N스크린, 서비스, 스크린, 방송, 미디어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