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8월 26일 토요일

비정규직과 사회변동

비정규직과 사회변동
비정규직과 사회변동.pptx


목차
1 서론
1-1 주제선정이유
1-2 비 정규직과 변동의 연관성
2 본론
2-1 비 정규직 이란?
2-2 비 정규직의 발생원인
2-3 우리나라의 비 정규직 현황과 실태
2-4 비 정규직의 문제점
2-5 비 정규직 관련법안 및 문제점
3 결론
3-1 개선방안과 실천적 과제



본문
2-3취업 동기

현재 일자리 형태에 비자발적 취업은 정규직이 9.7%, 비정규직이 59.1%다.
정규직은 자발적 취업사유를 '안정된 일자리'(48.9%)와 '근로조건 만족' (37
.2%) 순으로 응답하고, 비 정규직은 비자발적 취업사유를 '생활비등 당장 수입이 필요해서'(42.9%)와 '원하는 일자리가 없어서'(7.3%) 순으로 응답하고 있다.

2-4 교육 훈련 경험

전체 교육훈련 경험자에서 비 정규직은 18.9%를 차지하여 대부분의 비 정규직 노동자들은 교육훈련경험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43.6%를 차지하고 있는 정규직과 비교하여 24.7%나 낮은 수치이다. 세부 고용형태별로는 특수고용(51.8%), 파견근로(33.9%), 기간제근로(32.3%), 용역근로(23.6%) 순이다. 지난 1년 동안 교육훈련 시간은 정규직이 17.6시간으로 비 정규직(5.3시간)보다 12.3시간 많다. 세부 고용형태별로는 특수고용(21.5시간), 파견근로(8.3시간), 기간제근로(7.9시간), 용역근로(5.7시간) 순이다

1 고용불안
정규직
- 정식 고용
일정 기간 고용 보장
부당한 해고로부터
보호
비 정규직
고용불안
단기간(1~2년)계약
고용계약기간의 연장
; 사용자 마음

기업주 ; 고용권을 무기로 낮은 임금과 열악한 노동조건을 강압.


키워드
사회변동, 비정규직, 사회, 변동, 비정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