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서론 1.1. 희토류의 정의 1.2. 희토류의 공급독점 2.본론 2.1. 자원무기화 2.2. 그에 따른 각국의 대처 3. 결론 4. 참고자료 본문 희토류의 정의 (1/4) 정의 : 란탄, 세륨, 디스프로슘 등의 원소를 일컫는 말로 희귀광물의 한 종 특성 : 화학적으로 안정되면서도, 열을 잘 전달하는 공통점 용도 전기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풍력발전, 태양열 발전 21세기 저탄소 녹색성장에 필수적인 영구자석 → `첨단산업의 비타민` 이라 불릴 정도로 중요한 자원 중략 희토류의 공급독점(1/4) 발생 배경 1. 생산에 비해 매장량은 다양하게 분포해 있으나 채굴과 정제의 비 용이 높음 2. 1975년까지 미국이 희토류의 세계 최대 공급지 : 비인기 분야로 분류 3. 중국은 희토류에 대한 장기간 연구를 함 1) 1986년 '국가 고기술 연구발전 항목계획' (일명 863 계획) 2) 1997년 중국 과학 기술부의 '973계획' 4. 90년대부터 중국산 희토류의 수출로 인한 가격하락으로 경쟁력 을 잃은 서방기업의 시장 퇴출로 중국이 세계시장 독점적 위치를 차지 참고문헌 극동문제연구소2010자료 희토류 자원전쟁 김동완 저 대외경제정책 연구원 2010 자료 국립중앙과학관 www.science.go.kr http://blog.naver.com/jwon0312/140142630428 키워드 공급독점, 희토류, 무기화, 독점, 자원 |
2017년 8월 27일 일요일
자원의 무기화 -희토류의 공급독점을 중점으로
자원의 무기화 -희토류의 공급독점을 중점으로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