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이론 소개 2.실험 설계 3.실험 결과 분석 4.결론 본문 단어 수준의 같은 의미망의 어휘들로 나열한 경우와 다른 의미망의 어휘들이 나열된 경우 회상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같은 의미망 어휘들의 Prototype이 가능하면 명확하게 드러나는 어휘들로 구성하고자 했다. 또한 실험 시작하기 전에 어떤 범주에 있는 어휘들인지 미리 알려주었다. 문장 수준에서 실험을 한 결과 단어 수준보다 실험 결과가 더 뚜렷하게 나왔다. 초두효과와 최신효과가 확연하게 드러났다. 다만 중간에 조금 높아진 부분은 대부분 실험 시간이 식사시간 무렵이어서 그런지 '철수가 식사를 한다'라는 문장을 많이 기억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회상 과정에 상황적 요소가 반영되지 않았는가 의심이 든다. 실험 문장들이 주어, 목적어, 술어의 순서로 되어 있다. 여기서 주어는 철수로 통일시키고 목적어, 술어 조합의 술어구만 변형을 하였다. 그 결과 목적어만 외우고 뒤의 술어는 목적어에 어울리는 술어를 가져다 조합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았다. 키워드 계열위치효과, 계열, 위치, 효과, 실험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