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8월 25일 금요일

영유아기 자아발달(영아-유아의 자아인식, 자아존중감, 자아통제감, 사회인지발달)

영유아기 자아발달(영아-유아의 자아인식, 자아존중감, 자아통제감, 사회인지발달)
영유아기 자아발달(영아-유아의 자아인식, 자아존중감, 자아통제감, 사회인지발달).hwp


목차
영유아기 자아발달

I. 자아인식

II. 자아존중감

III. 자아통제감

IV. 사회인지 발달

* 참고문헌


본문
영유아기 자아발달

자신을 다른 사람 및 주변 환경과 구분할 수 있게 되면서부터 자아가 발달하기 시작한다. 신생아도 녹음된 자신의 울음소리에는 울지 않지만 다른 아기의 울음소리를 들으면 우는 것을 볼 때, 출생 시부터 자신과 타인을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기 시작함을 알 수 있다. Piaget에 의하면 2~3개월 된 영아도 발을 차거나 팔을 끌어당겨서 모빌을 움직이고 소리 내는 것을 즐거워하며 반복하려 한다(Lewis, Alessandri, & Sullivan, 1990; Rovee-Collier, 1995). 이는 2개월 된 영아들도 자신이 어떤 사건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자기 신체와 외부 대상을 변별하기 시작하면서 자아가 발달하기 시작한다.

I. 자아인식

영아가 자신이 타인과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면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해 알고자 하게 되는데 이것이 자아인식이다. Lewis와 Brooks-Gunn(1979)은 9~24개월 된 영아를 대상으로 코에 빨간 립스틱을 칠한 후 거울 속에 비친 모습을 보게 하였다. 어린 영아들은 거울을 보고도 자신을 알아보지 못하였다. 반면 18-24개월 된 대부분의 영아들은 거울 속에 비친 자기 모습에서 붉은 점을 보고 자신의 코를 만졌다. 이 실험을 통해서 볼 때, 18개월 이후의 영아는 거울 속에 비친 자신을 인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은 사진 속에 있는 자신을 인식할 수 있고 사진 속 자신을 나 혹은 자신의 이름으로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자아인식은 자신의 얼굴에 대한 도식을 내재화함으로써 가능하므로 자아인식을 위해서는 인지발달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하고 싶은 말
레포트 작성에 참고가 되시길 바랍니다

키워드
발달, 아기, 영유아기, 자아발달, 자아인식, 자아존중감

댓글 없음:

댓글 쓰기